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기준 장례식장 조문 예절 및 주의사항 (복장, 말과 행동)
    Daily 2023. 7. 11. 23:59
    반응형

    2023년 기준 장례식장 조문 예절 및 주의사항 (복장, 말과 행동)

    핵심만 순서대로 간단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조금씩 설명도 포함되어있으니 시간이 있으신분들은 소제목 내용까지 읽으시면 됩니다.

    잘잘한 내용은 제외하였으며, 요즘같은 시대에 오지랖 넓게 상주와 나눠야 하는 대화내용이나

    장례식장 서빙하는법, 적절한 조의(부의)금 금액, 자고 와도 되는지 등 내용은 생략합니다.

     

    목차

    1. 장례식장 조문 복장 (남,여)


    2. 장례식장 조문 순서 (들어가서 식사까지의 루틴)


    3. 장례식장 조문시 주의해야할 말과 행동

    위 목차와 같이 딱 세가지의 큰 주제만 간략하게 숙지하고 있으면 평생 도움이 되실겁니다.

    조의금(부의금) 금액이나 방문 시기, 대화내용 등 잘잘하고 오지랖 넓은 행동을 하기위한

    내용은 따로 설명하지 않으니 추후 별도의 포스팅으로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장례식 후 관을 옮기는 사진

    1. 장례식장 조문 복장 (남,여)

    장례식장방문시 사전에 내용을 전달받아 미리 준비를 하고 방문을 하면 좋지만

    갑작스럽게 연락을받고 급하게 가는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특히 직장인들같은경우 퇴근 후 이동을 하기 때문에 복장에 대해 고민이 있으실 수 있습니다.

     

    남,여에 따라 특별히 차이점은 없습니다.

    컬러는 블랙이나 어두운계열, 단색! 이정도만 주의하시면 됩니다. 옛날엔 검은색이 아니면 어른들 눈치가 보였지만 요즘은 그런 겉치레보다 방문을하고 같이 슬픔을 나누는 행동과 마음이 더 중요하단걸 알기시작한것 같습니다.

     

    겉옷과 양말색만 블랙이나 어두운 색이면 됩니다. 겉옷이란 가장 겉에입은 옷 입니다.

    겨울철이나 남여 양복같은경우는 마이가 있죠? 마이가 가장 겉옷이기때문에 안에는 하얀셔츠를 입습니다.

    겉옷이 없다면 가장 겉에 입은옷이 너무 요란하거나 밝고 쾌활하지만 않으면 됩니다.

    특히 어두운계열이 아니라도 단색이면 무난하니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누누이 이야기드리지만 일부로 입은게 아니라면 그정돈 아무일도 아닙니다.

    조의를하는 마음이 중요하죠 :)

    장례식장 국화 조화

    2. 장례식장 조문 순서 (들어가서 식사까지의 루틴)

    장례식장에 도착해서 어떤 순서로 진행해야할까요? 

    어려운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누구나 이해하도록 설명드릴께요!

    예를 들면 '호상소에서 조객록 서명' x = 방명록 적기

     

    ★루틴 한줄정리!

    방명록 작성 - 빈소입장 - 절2번 + 목례 or 기도(기독교) - 상주와 맞절or묵념(목례) - 나오면서 조의금 넣기 - 식사

     

    ★루틴 간략 참고내용 정리!

    방문하면 첫째로  방명록을 작성합니다.

    조의금은 빈소에서 나가면서 걷는곳이 있으니 잠시 넣어두세요.

     

    두번째론 안에 들어가 절을 해야겠죠? 종교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은 절을 두번하고 목례를 합니다.

    기독교인경우는 제자리에서 묵념자세로 짧게 기도를 드립니다.

     

    복잡하게 앞에가서 향을 피우거나 꽃을 둔다거나 하는경우도 있으나 이런비율이 상대적으로 적고

    무었보다 MBTI 아이 성향이신분들은 떨려서 실수할 수 있습니다.

     

    그래도 혹시몰라 아래 '3. 장례식장 조문시 주의해야할 말과 행동'에서 이야기 드리겠습니다.

     

    세번째로는 상주와의 맞절입니다.

    빈소에서 절을 두번하고 묵념하신분은 상주분과 맞절 1번만 하면 되며, 기도를 하신분은 상주와 마주보고 묵념잠깐 하시면 됩니다.

     

    그 후 상주와 간단한 위로의 말을 주고받는 관례가 있긴한데 너무 옛날관행이고 요즘은 상주분은 와줘서 고맙다고 그러시고 주문객은 '네' 정도로만 해도 됩니다. 식사를 바로 권하실테니

     

    네번째로 준비한 조의금(부의금)을 내시면 됩니다.

    봉투는 현장에도 있으니 걱정하지 마시고 봉투에는 본인 이름을 꼭 적어주세요.

    회사 동료와 관련되었다면 회사명도 같이 적어주세요!

     

     

    다섯째 준비된 식사를 하시고 분위기가 되면 되돌아가기전 간단하게 인사만하고 나가면 됩니다.

    바빠보이거나 많이 힘들어하시면 그냥 스윽 조용히 나가주시면 되겠습니다.

    장례식 리무진 차 창문에 국화 꽃

    3. 장례식장 조문시 주의해야할 말과 행동

    주의해야할 말과 행동은 알고있어도 실수를 할 수 있으니 되도록이면 장례식장에서

    불필요한 말과 행동을 삼가하고 그냥 딱 할것만 하고 퇴장하시길 추천드립니다.

     

    01. 빈소에서 향을 피운뒤 불을 끌땐 절때로 입으로불면 안됩니다.

    손부채질이나 향을 흔들어서 불을 줄여주세요!

     

    02. 식사시 한잔하실때는 스스로 잔을 채우고 혼술하듯이 마시세요.

    다른분들과의 건배, 소주잔 부딪히기는 예의가 아닙니다.

     

    03. 빈소에서 절을하고 상주와 맞인사 후 간단한 이야기만 나누세요.

    사적인 대화나 주저리주저리 투머치 토커는 예의가 아니며, 사인(死因)을 물어보지 마세요!

     

    *추가 용어정리

    조의금 : 고인의 죽음을 애도하는 의미로 내는 돈

    부의금 : 대가를 바라지 않고 장례비용을 돕기위해 내는 돈

    묘지사진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