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 아스퍼거 증후군 증상 테스트 및 원인 치료 (자폐 스펙트럼)Health 2023. 9. 10. 14:15반응형
아스퍼거 증후군 또는 동의어인 아스페르거 증후군 이라 불리는 증상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여러 임상 양상 중 하나입니다. 자폐 스펙트럼을 가진 다른 아이들 처럼 비정상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및 제한되고 반복적인 행동 문제를 보입니다.
따라서 사회적, 직업적으로 어려움을 겪지만 두드러지는 언어 발달 지연이 나타나지 않는 전반적인 발달장애의 일종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치료하는 단 한 가지지의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의사소통 문제, 반복 행동, 신체 제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언어 치료, 인지 치료, 행동 수정 치료, 사회 기술 훈련 등을 시행합니다. 교육적 개입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아래 소개드리는 전문 상담 및 치료에 도움을 주시는 사이트 링크를 공유 드리니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마인드카페' 메인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합니다."
1. 아스퍼거증후군 테스트
-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고 이기적인 말을 자주 듣는다.
- 빛 소리 냄새 등에 민감하다
- 불면증이 있다.
- 종종 망상에 빠지며 자신만의 세계가 있다.
- 자신이 알고리즘에서 벗어나는 것을 지나치게 싫어한다.
- 눈치 없다는 소리를 많이 듣는다.
-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 불안함을 느끼고 숨쉬기가 힘들다.
- 방을 어둡게 하려고 한다.
- 어릴 때부터 별나다는 소리를 들었다.
- 산만하고 남들보다 집중력이 떨어진다.
2. 아스퍼거증후군 증상
아스퍼거 증후군과 자폐증의 가장 큰 차이점은 언어 발달의 지연이 두드러지지 않고 지적 능력이 양호하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이 병이 청소년기나 성인기까지 진단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언어 발달이 두드러지게 지연되지는 않지만, 특이한 화법을 쓰고, 목소리의 크기나 억양, 운율 및 리듬이 정상 아동과 차이가 있습니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는 특정한 주제에 대해 강한 관심을 가지며, 특정한 주제에 대해 듣는 이의 느낌이나 반응을 신경 쓰지 않고 이야기를 합니다.
장황하고 말이 많거나, 갑작스럽게 대화의 주제를 바꾼다거나, 문자를 있는 그대로를 이해한다거나, 자기 자신에게만 의미가 있는 은유를 사용합니다.
또래 친구와 사귀는 데 어려움이 있고, 혼자 지내는 경향이 있으며, 독특한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소리, 빛, 접촉, 감촉, 맛, 냄새, 통증, 온도 및 그 밖의 자극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하거나 또는 지나치게 둔감한 경우가 많습니다.
3. 아스퍼거증후군 진단
아스퍼거 증후군은 보통 아동기에 진단됩니다. 그러나 청소년기나 성인기가 되어서야 비로소 진단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진단을 위해 지적 능력 및 언어 사용 능력, 사회성을 평가하는 검사를 시행합니다. 자폐증 진단 관찰 척도(Autism Diagnostic Observation Schedule, ADOS), 자폐증 진단 면담(Autism Diagnostic Interview-Revised, ADI-R)과 같은 검사를 통해서 보다 정확히 진단할 수 있습니다.
필요시 염색체 분석, 갑상선 호르몬 검사, 뇌의 모양과 기능을 알기 위한 뇌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를 하기도 합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뇌파 검사나 CT, MRI 같은 영상의학적 검사, 유전자 검사 소견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뇌전증이 동반할 가능성이 의심되거나, 기타 뇌 질환이 의심될 경우, 감별 및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4. 아스퍼거증후군 치료
아스퍼거 증후군을 치료하는 단 한 가지지의 특이적인 치료법은 없습니다.
의사소통 문제, 반복 행동, 신체 제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언어 치료, 인지 치료, 행동 수정 치료, 사회 기술 훈련 등을 시행합니다. 교육적 개입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시작할수록 예후는 좋은 편입니다.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이를 가진 채로 세상에 적응하는 법을 학습합니다.
삶을 계속하기 위해 다른 이들의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주의력 결핍, 과잉 활동, 불안, 강박 행동, 틱, 우울, 망상이나 환청, 수면 장애 등이 심하다면 약물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압 정상수치 혈압 증상 낮추는 예방 방법 좋은 음식 (고혈압 , 저혈압) (0) 2023.08.29 2023 보건증 인터넷 발급 방법 (재발급, 검사항목, 기간, 금액, 보건소) (0) 2023.08.20 맨발걷기 효과와 부작용 5가지 어싱이란? (Earthing) (0) 2023.08.17 나르시시스트 테스트 검사하기 (Feat. 자가진단 항목) (0) 2023.08.17 기침 멈추는법 11가지 예방 기침의 원인 (0) 2023.07.25